TCP/IP (5)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로토콜] IP Fragmentation / IP 단편화 ❏ IP 단편화 ❍ 데이터그램의 크기가 크면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에 맞게 그 데이터를 나누는 것을 단편화라고 합니다. Ethernet MTU는 1500바이트이고 보통 MT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576바이트의 기본 크기로 보냅니다. ❍ 단편화의 바이트구조를 보면, 1비트는 R이며 나중을 위해 사용을 보류한 비트이고, 다음 1비트는 DF로 나타내며, 이 값이 1을 나타내면 이 데이터그램은 단편화를 해서는 안된다는 뜻입니다. 다음 비트는 MF로 나타내며, 이 값이 1을 나타내면 이 데이터그램 뒤에 단편화된 데이터그램이 더 있다는 뜻입니다. 오프셋은 해당 단편화 조각이 원래 데이터에서 몇 번째 데이터인지를 표시해주는 값입니다. 오프셋은 8단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 [프로토콜] IP Header ❏ IP ❍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은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프로토콜)이며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합니다. IP의 정보는 패킷 혹은 데이터그램이라고 하는 덩어리로 나뉘어 전송되며, 이전에 통신한 적 없는 호스트에 패킷을 보낼 때 경로 설정이 필요없습니다. ❍ IP는 비신뢰성(unreliability)과 비연결성(connectionlessness)이 특징입니다. 비신뢰성은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보낸 정보가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패킷전송과 정확한 순서를 보장하려면 TCP 프르토콜과 같은 IP의 상위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합.. [프로토콜] TCP 프로토콜 동작 방식 ❏ TCP 프로토콜 동작방식 ❍ TCP는 흐름제어(Flow control)와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 두 개의 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End-to-End 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합니다. 흐름 제어는 송신 측이 수신 측으로부터 Advertised Window 크기를 받은 후 그것보다는 적게 보냄으로써 네트워크 상의 흐름을 조절하는 방법이고, 혼잡 제어는 Sender가 네트워크 상황을 보고 스스로 흐름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 흐름제어(Flow Control) - 정의 •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수신 측이 송신 측보다 속도가 빠른 것은 아무 문제가 없지만 송신 측이 수신 측보다 속도가 빠르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수신 측에서 수신된.. [프로토콜] TCP Checksum (TCP 체크섬) ❍ TCP Checksum - TCP는 TCP Segment data 송신 도중 발생될 수 있는 비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체크섬을 사용합니다. 송신자는 체크섬 계산알고리즘에 의해 계산한 체크섬을 TCP 체크섬 헤더에 삽입하여 송신하게 되며, 수신자는 동일 알고리즘으로 수신받은 데이터를 검사해 봄으로써 오류여부를 파악합니다. TCP 체크섬은 TCP 체크섬 계산에 사용되는 헤더 및 데이터를 16비트 단위로 분할하여 비트 합을 구한 뒤, 이에 대한 1의 보수를 취함으로써 계산됩니다. 비트합 계산 중 Carry가 발생될 경우에는 Wrap around를 적용합니다.- Checksum 계산 순서 (1) Pseudo Header 생성ㆍPseudo Header는 총 12바이트 길이로써 일부 IP Header를 참조하.. [프로토콜] TCP Header ❏ TCP ❍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P)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로, IP와 함께 TCP/IP라는 명칭으로도 널리 불립니다. TCP는 근거리 통신망(LAN)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한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합니다. OSI 7계층의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 위치합니다. ❍ TCP는 기본적으로 IP와 함께 사용되어 TCP/IP라고 불립니다. IP 프로토콜의 상위 레벨 프로토콜로써, IP가 제공하지 못하는 기능 즉, 데이터 누락검사, 패킷 순서 뒤바뀜 등 데이터 교정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TCP의 기능상 특징으로 흔히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