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Protocol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로토콜] IP Version 4 (IPv4) IP Version 4 (IPv4) ❏ 인터넷 프로콜의 4번째 버전이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첫 번째 인터넷 프로토콜으로서 IPv6를 제외하고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프로토콜입니다. IPv4의 주소체계는 총 12자리이며 네 부분으로 나뉩니다. 각 부분은 0~255까지 32자리의 수로 표현되며 총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구성 단위(Class) ❏ 구성 단위 (Class) ❍ Class A : 최고위의 클래스로서, 1~126 (0, 127 예약됨) 범위의 IP주소를 가집니다. 주로 각 대륙에 할당하는 IP입니다. ❍ Class B : 두 번째로 높은 단위의 클래스로서, 아이피 구성에서 첫 번째 단위의 세 숫자는 128~191 가운데 하나를 가지며, 두 번째 단위의 세 숫자는 B Clas.. [프로토콜] IP Fragmentation / IP 단편화 ❏ IP 단편화 ❍ 데이터그램의 크기가 크면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에 맞게 그 데이터를 나누는 것을 단편화라고 합니다. Ethernet MTU는 1500바이트이고 보통 MT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576바이트의 기본 크기로 보냅니다. ❍ 단편화의 바이트구조를 보면, 1비트는 R이며 나중을 위해 사용을 보류한 비트이고, 다음 1비트는 DF로 나타내며, 이 값이 1을 나타내면 이 데이터그램은 단편화를 해서는 안된다는 뜻입니다. 다음 비트는 MF로 나타내며, 이 값이 1을 나타내면 이 데이터그램 뒤에 단편화된 데이터그램이 더 있다는 뜻입니다. 오프셋은 해당 단편화 조각이 원래 데이터에서 몇 번째 데이터인지를 표시해주는 값입니다. 오프셋은 8단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 [프로토콜] IP Header ❏ IP ❍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은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프로토콜)이며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을 담당합니다. IP의 정보는 패킷 혹은 데이터그램이라고 하는 덩어리로 나뉘어 전송되며, 이전에 통신한 적 없는 호스트에 패킷을 보낼 때 경로 설정이 필요없습니다. ❍ IP는 비신뢰성(unreliability)과 비연결성(connectionlessness)이 특징입니다. 비신뢰성은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보낸 정보가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패킷전송과 정확한 순서를 보장하려면 TCP 프르토콜과 같은 IP의 상위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합..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