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단편화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로토콜] IP Fragmentation / IP 단편화 ❏ IP 단편화 ❍ 데이터그램의 크기가 크면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크기에 맞게 그 데이터를 나누는 것을 단편화라고 합니다. Ethernet MTU는 1500바이트이고 보통 MT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576바이트의 기본 크기로 보냅니다. ❍ 단편화의 바이트구조를 보면, 1비트는 R이며 나중을 위해 사용을 보류한 비트이고, 다음 1비트는 DF로 나타내며, 이 값이 1을 나타내면 이 데이터그램은 단편화를 해서는 안된다는 뜻입니다. 다음 비트는 MF로 나타내며, 이 값이 1을 나타내면 이 데이터그램 뒤에 단편화된 데이터그램이 더 있다는 뜻입니다. 오프셋은 해당 단편화 조각이 원래 데이터에서 몇 번째 데이터인지를 표시해주는 값입니다. 오프셋은 8단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