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순 링크 기록용으로 남긴다.
Docker 사용 시 우분투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한글 지원이 되지 않아 커맨드라인에서 한글 입력이 안된다.
그 때 아래 블로그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한다.
https://www.44bits.io/ko/post/setup_linux_locale_on_ubuntu_and_debian_container
도커(Docker) 컨테이너 로케일 설정: 데비안(Debian), 우분투(Ubuntu) 이미지에서 한글 입력 문제
도커 우분투, 데비안 이미지에서는 기본적으로 한글 입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로케일 설정을 UTF-8로 지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로케일 개념과 함께 도커
www.44bits.io
Commands List
export LANGUAGE=ko
apt-get install locales
localedef -f UTF-8 -i ko_KR ko_KR.UTF-8
locale-gen ko_KR.UTF-8
export LC_ALL=ko_KR.UTF-8
LC_ALL=ko_KR.UTF-8 bash
혹시 블로그의 글이 짤릴 경우를 대비하여 커맨드들 리스트만 모아놓는다.
반응형
'개발 노트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ssh 암호 없이 원격지 접속 (0) | 2021.04.28 |
---|---|
[EC2] Ubuntu 서버 Django 설치 (0) | 2020.10.11 |
[EC2] Linux code-server 개발환경 구축하기 (2) | 2020.10.06 |
[Kernel] 리눅스 서버의 TCP 네트워크 성능을 결정짓는 커널 파라미터 (0) | 2020.05.14 |
[GDB] 자식 프로세스 디버깅 (0) | 2020.01.06 |